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0대 맞벌이 부부의 전세 선택법 (맞벌이, 전세사기, 주의)

by catmusic5 2025. 4. 5.

30대 맞벌이 부부에게 전세 계약은 주거 안정성과 미래 자산을 지키는 중요한 선택입니다. 하지만 바쁜 일상 속에서 정보 확인을 소홀히 하거나 절차를 간과하면 전세사기 피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30대 맞벌이 부부가 전세를 고를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주의사항과 실전 체크리스트를 안내합니다.

맞벌이 부부, 왜 전세사기 위험에 노출될까?

30대 맞벌이 부부는 경제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입을 가지고 있지만, 시간이 부족하고 실거주 경험이 많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결혼 후 첫 전세계약을 맺는 경우, 신혼집 마련이라는 기대감에 급하게 계약을 진행하다가 전세사기의 표적이 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또한 부부 중 한 명이 계약을 전담하거나, 주말이나 퇴근 시간대에 급하게 집을 보러 다니는 경우가 많아 충분한 정보 탐색 없이 계약이 체결되는 일이 흔합니다. 이들은 중대형 평형대의 전세 매물을 찾는 경우가 많고, 그만큼 전세금도 높아 사기범 입장에서는 한 번에 많은 금액을 노릴 수 있는 대상이 됩니다. 실제로 갭투자형 전세사기, 법인 명의의 임대, 허위 매물 계약 등은 맞벌이 부부를 주요 대상으로 설정한 수법이 많습니다. 특히 아이가 있는 경우에는 이사 일정에 쫓겨 확정일자나 전입신고를 미루는 사례도 발생하며, 이런 허점이 곧 피해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계약 시 신중함과 체계적인 준비가 절실히 필요한 이유입니다.

실제 사례로 보는 맞벌이 부부 피해 유형

2023년 경기도 성남에서는 맞벌이 부부 A씨 부부가 전세 계약을 체결하고 입주했지만, 집주인의 갭투자 실패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부부는 임대인의 신용이나 자산 상태는 확인하지 않았고, 등기부등본도 공인중개사 말만 믿고 제대로 열람하지 않았습니다. 계약 당시 임대인의 근저당이 다수 설정되어 있었고, 세입자가 우선변제를 받기 어려운 구조였다는 사실은 나중에 알게 되었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는 서울 강서구의 한 맞벌이 부부가 법인 명의의 다세대주택에 입주했다가, 해당 법인이 부도를 내면서 보증금 전액을 손해 본 경우입니다. 이들은 계약 당시 중개사무소에서 “문제없는 매물”이라는 설명만 듣고 안심했지만, 전세보증보험 가입도 불가능했고, 이후 해당 물건은 경매로 넘어갔습니다. 이처럼 맞벌이 부부의 피해는 중개사나 임대인에 대한 과도한 신뢰, 계약 서류 미확인, 일정에 쫓긴 급한 계약 등에서 비롯됩니다. 사기범은 이러한 상황을 이용해 치밀하게 접근하며, 한 번의 실수가 수천만 원의 손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세 계약 시 맞벌이 부부가 꼭 실천해야 할 사항

맞벌이 부부가 전세 계약에서 전세사기를 피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 준비와 역할 분담이 필요합니다. 첫째, 계약 전에 등기부등본을 직접 열람하고, 소유주와 임대인이 일치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근저당, 가압류 등의 권리관계도 반드시 체크하세요. 둘째, 계약서 작성 후 즉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는 일정 관리가 중요합니다. 부부 중 한 명이 이를 맡아 반드시 하루 이내로 처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셋째,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 가능 여부 확인도 필수입니다. 가입이 불가하다면 반드시 사유를 파악하고, 보험사가 경고하는 내용을 기준으로 리스크를 재점검해야 합니다. 넷째, 계약서에는 반드시 특약사항을 명시하세요. 예를 들어 “계약 후 7일 이내 확정일자 미등록 시 계약 무효” 또는 “보증금 반환 조건 명시” 등은 법적 보호의 근거가 됩니다. 다섯째, 중개사무소의 자격과 등록번호 확인은 기본이며,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 서명 여부도 체크하세요. 마지막으로, 부부 간 역할을 분담하여 계약 전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꼼꼼히 절차를 따르는 것이 피해를 막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30대 맞벌이 부부는 전세사기 위험에 쉽게 노출될 수 있습니다. 일정에 쫓기고 정보 탐색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한 번의 실수가 큰 손해로 이어집니다. 계약 전 서류 확인, 보증보험 체크, 전입신고·확정일자 등록, 중개사 자격 검증 등 필수 절차를 철저히 지키세요. 안전한 전세 생활을 위한 최고의 대비는 꼼꼼한 준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