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T 관점에서 본 배민커넥트 문제 (수행창, 서버, 안정화)

by catmusic5 2025. 9. 15.

배민커넥트 IT 관점 문제 분석

배민커넥트의 수행창 오류, 서버 문제, 그리고 전반적인 안정성 이슈를 IT 관점에서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해 드립니다. 일반적인 앱 오류를 넘어, 시스템 아키텍처와 데이터 처리 측면에서 접근해 보겠습니다.


1. 수행창(수행화면) 문제의 원인

수행창은 실시간성이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배달의 시작부터 끝까지 라이더의 위치, 주문 정보, 그리고 배달 상태가 서버와 끊임없이 동기화되어야 하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대부분 다음과 같은 이유로 발생합니다.

  • 실시간 데이터 통신의 불안정성 (WebSockets 또는 MQTT) 일반적인 웹 통신(HTTP)과 달리, 수행창은 서버와 양방향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프로토콜(예: WebSockets, MQTT)을 사용합니다. 네트워크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라이더의 위치가 빠르게 변할 때 이 통신이 끊어지면 수행창이 멈추거나 정보 업데이트가 지연됩니다.
    • 해결 방안: 통신 재연결 로직(reconnection logic)을 강화하여, 네트워크가 불안정해져도 자동으로 빠르게 통신을 재개하도록 앱을 개선해야 합니다.
  • GPS 및 위치 정보 처리 지연 스마트폰의 GPS 센서에서 위치 정보를 받아와 서버로 전송하고, 다시 서버에서 주변의 콜 정보를 받아오는 과정에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건물 밀집 지역이나 지하에서는 GPS 신호가 불안정하여 위치 정확도가 떨어지고, 이로 인해 수행창에 오류가 발생하곤 합니다.
    • 해결 방안: GPS 정보가 불안정할 경우, 주변 기지국 정보(Cell ID)나 Wi-Fi 신호 등을 활용하여 위치를 보정하는 기술(Location Triangulation)을 적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서버 문제의 원인

배민커넥트 서버는 엄청난 양의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주문 접수, 라이더 배차, 결제 처리 등 모든 과정이 서버에서 이루어지죠.

  • 과부하로 인한 병목 현상 (Scalability Issues) 피크타임에는 동시 접속자 수와 주문량이 폭증합니다. 서버가 이 트래픽을 감당하지 못하면 시스템 전반에 병목 현상이 발생하고, 이는 앱 지연이나 로그인 실패, 배차 오류 등으로 이어집니다.
    • 해결 방안: 클라우드 서버의 오토 스케일링(Auto-scaling) 기능을 활용하여 트래픽이 많아질 때 자동으로 서버 자원을 늘려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Microservices Architecture)**를 도입하여 특정 기능(예: 배차, 결제)에 문제가 발생해도 전체 시스템이 멈추지 않도록 분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데이터베이스(DB)의 부하 모든 주문과 배달 기록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동시에 수많은 라이더와 주문이 DB에 접근하면 DB에 과부하가 걸려 데이터 처리 속도가 현저히 느려집니다.
    • 해결 방안: 실시간으로 변하는 데이터는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In-memory DB)**나 캐싱(Caching) 기술을 활용하여 처리 속도를 높이고, 정적인 데이터는 별도의 DB에 저장하여 부하를 분산시켜야 합니다.

3. 시스템 안정화 및 기타 문제

앱과 서버 외에 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정성을 위협하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 배차 알고리즘의 비효율성 AI 기반의 배차 시스템은 라이더 위치, 예상 배달 시간, 주문 유형 등 수많은 변수를 고려합니다. 알고리즘에 오류가 있거나, 실시간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면 비효율적인 배차(콜이 없는 지역으로 라이더를 보내는 등)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결 방안: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지속적으로 학습시키고 고도화하여 최적의 배차를 제공하도록 개선해야 합니다.
  •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 부재 문제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하는 시스템이 없다면, 사용자들은 불편을 겪을 수밖에 없습니다.
    • 해결 방안: APM(Application Performance Monitoring) 시스템을 구축하여 앱의 성능 저하나 오류가 발생하는 지점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개발팀이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라이더가 고객센터에 문의하기 전에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