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30

형법상 명예훼손 vs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형법상 명예훼손과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은 모두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처벌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구분형법상 명예훼손 (제307조)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제70조)행위의 매개제한 없음 (구두, 서면 등)정보통신망 (인터넷, SNS 등)비방 목적명시적인 요구 없음 (판례상 고려 요소)사람을 비방할 목적 필수 구성 요건공연성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 (전파 가능성 인정)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 (전파 가능성 인정)처벌 수위- 사실 적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 허위 사실 적시: 5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원 .. 2025. 5. 5.
온라인 명예훼손 vs 오프라인 명예훼손 차이점 온라인 명예훼손과 오프라인 명예훼손은 기본적인 명예훼손죄의 성립 요건은 동일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을 가집니다. 특히 처벌 수위와 전파력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다음은 온라인 명예훼손과 오프라인 명예훼손의 주요 차이점입니다.구분온라인 명예훼손 (사이버 명예훼손)오프라인 명예훼손 (일반 명예훼손)적용 법률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정보통신망법) 제70조와 형법 제307조가 함께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비방 목적이 있는 경우 정보통신망법이 우선 적용되어 가중 처벌됩니다.형법 제307조가 적용됩니다.전파력매우 높음. 인터넷의 특성상 순식간에 광범위하게 퍼져나가 걷잡을 수 없는 피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삭제하더라도 흔적이 남아 영구적인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상대적으로 제한.. 2025. 5. 5.
명예훼손죄 vs 모욕죄, 무엇이 더 무거운가? 일반적으로 명예훼손죄가 모욕죄보다 더 무겁게 처벌받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1. 법정형 비교:명예훼손죄 (형법 제307조):사실 적시 명예훼손: 2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만 원 이하의 벌금허위 사실 적시 명예훼손: 5년 이하의 징역, 10년 이하의 자격정지 또는 1천만 원 이하의 벌금모욕죄 (형법 제311조): 1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200만 원 이하의 벌금보시다시피, 명예훼손죄, 특히 허위 사실을 적시한 명예훼손의 경우 법정형이 모욕죄보다 훨씬 높습니다. 사실을 적시한 명예훼손의 경우에도 벌금형의 상한선이 모욕죄보다 높습니다.2. 보호 법익의 차이:명예훼손죄: 개인의 외부적 명예, 즉 사회적 평가를 보호합니다. 구체적인 사실이나 허위 사실의 적시를 통해 사회적 평가를 저.. 2025. 5. 5.
공익 목적이라도 처벌? 명예훼손 오해와 진실 공익 목적 명예훼손, 오해와 진실오해: 공익을 위한 목적이라면 어떤 내용의 명예훼손도 처벌받지 않는다?진실: 아닙니다. 공익 목적은 명예훼손죄의 위법성을 조각하는 중요한 요건 중 하나이지만, 절대적인 면죄부가 될 수는 없습니다. 형법 제310조는 "제307조 제1항(사실 적시에 의한 명예훼손)의 행위가 진실한 사실로서 오로지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에는 처벌하지 아니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따라서 공익 목적의 명예훼손이라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1. 허위 사실을 적시한 경우:형법 제310조는 "진실한 사실로서" 공공의 이익에 관한 때에만 위법성을 조각합니다. 따라서 허위의 사실을 적시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한 경우에는 공익 목적이라 하더라도 명예훼손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 2025. 5. 5.
형사 vs 민사 명예훼손, 어떻게 다를까? 명예훼손은 형사상 범죄와 민사상 불법행위 모두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해자는 가해자를 상대로 형사 고소를 통해 처벌을 구하는 동시에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형사 명예훼손과 민사 명예훼손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습니다.1. 목적형사 명예훼손: 가해자를 처벌하여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민사 명예훼손: 피해자가 입은 정신적, 물질적 손해를 배상받는 것이 주된 목적입니다.2. 성립 요건요건형사 명예훼손 (형법 제307조)민사 명예훼손 (민법 제750조)사실 적시공연히 사실 또는 허위의 사실을 적시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의 명예를 훼손공연성불특정 또는 다수인이 인식할 수 있는 상태전파 가능성 (반드시 다수에게 인식될 필요는 없음)특정성피해자가 특정될 수 있어.. 2025. 5. 5.
명예훼손, 모욕죄와의 차이 쉽게 이해하기 명예훼손죄와 모욕죄는 모두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를 처벌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과 처벌 수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쉽게 비유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명예훼손: "A는 학교 돈을 훔쳤대." (구체적인 사실을 언급하여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모욕: "A는 XX야!" (구체적인 사실 없이 경멸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행위)좀 더 자세히 비교해 보겠습니다.구분명예훼손죄 (형법 제307조)모욕죄 (형법 제311조)보호 법익사람의 외부적 명예 (사회적 평가)사람의 내부적 명예 (인격적 가치, 감정)행위 내용구체적인 사실을 적시하여 명예를 훼손 (진실/허위 불문)추상적인 판단이나 경멸적인 감정을 표현사실 적시 여부O (구체적인 내용 언급)X (구체적인 내용 없음)예시"B는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했.. 2025. 5. 5.